본문 바로가기

생각보다 넓은 공간, 의식을 바라보는 연습

마음의건강 2025. 9. 24.

 

살다 보면, 뭔가 계속 부족한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문제가 해결돼도 또 다른 문제가 생기고,
즐거운 일을 해도 다시 허전함이 찾아오고…
그 이유가 삶의 ‘내용’이 아니라, 그걸 바라보는 ‘의식의 틀’에 있다고 말해요🙂

 


‘내용’보다 ‘그릇’을 보세요

우리가 경험하는 생각, 감정, 감각은 모두 의식이라는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것이에요.
글쓴이는 이걸 ‘마블이 담긴 유리병’에 비유했어요.

  • 마블 = 생각, 감정, 감각
  • 유리병 = 의식 자체

우리는 늘 마블만 들여다보느라,
그걸 담고 있는 유리병(의식)을 잊고 살죠.
하지만 잠깐 멈춰서 “이 생각은 어디에 나타나고 있지?”라고 자문하면,
그 순간 우리는 의식의 공간 자체를 인식하게 돼요.
이게 바로 ‘비이원적 인식(nondual awareness)’의 시작이에요🌱


비이원적 인식이란?

‘비이원적’이란 말은 ‘둘이 아닌 상태’를 뜻해요.
우리가 세상을 볼 때, 보통은

  • 나 vs 너
  • 좋음 vs 나쁨
  • 성공 vs 실패
    이렇게 나누고 판단하죠.

하지만 의식 자체를 바라보면,
그 안에는 그런 구분이 없어요.
모든 것이 그냥 ‘존재하는 그대로’ 나타나고 사라질 뿐이죠.
이 상태에서는 평화, 창의성, 연결감, 깊은 휴식이 자연스럽게 따라와요🙂


삶을 바꾸는 질문 하나

“나는 지금 무엇을 보고 있지?”가 아니라
“이 경험은 어디에서 나타나고 있지?”라고 물어보세요.
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그 질문이 가리키는 ‘공간’을 느껴보는 거예요.
그게 바로 의식의 그릇을 바라보는 순간이에요.


우리는 늘 삶의 문제를 ‘고치려’ 하죠.
하지만 진짜 변화는,
문제를 담고 있는 의식의 틀을 바꾸는 것에서 시작돼요.
그 틀은 이미 평화롭고, 넓고, 고요해요.
그걸 인식하는 순간, 삶은 더 이상 고쳐야 할 대상이 아니라
그대로 충분한 경험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