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작용873 나는 나를 알기 위하여 타인과 교류를 하고 자존감을 찾는다 1. 자기 상을 자신이 통제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기자신을 보는 방식은 궁극적으로 자신이 통제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 너 자신이 자기 이미지를 변화시킬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지.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은 분명히 필요하고 그걸 무시하는 건 현명치 않다고 시사하는데도 불구하고(사회 비교 이론에서) 그러한 피드백을 수용하느냐 혹은 거부하느냐의 최종 선택은 자기 자신 2. 자신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기대게 낮은 자존감을 보이는 사람이 높은 자존감을 보이는 사람에 비해 자기 자신에 대해 상세히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따라서 자존감을 높이려면 자신에 관해 전체적으로 잘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자존감'(McKay & Faining)이라는 저서에서는 외모, 성격 특성, 타인과의 관계, 학업수행과 직무 수행, 지적.. 의식의 상태 2015. 12. 11. 더보기 ›› 나의 성격으로 타인이 성격을 바꿀 수 있다 성격장애 *본문을 읽고 섣부른 자가진단으로 증상을 확진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정확한 진단은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자극에 대해 한 사람의 특징적인 반응방식을 '성격'이라고 한다. 이는 대부분 사람에게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 그리고 발현되는 시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성격 특징이 일상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응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만큼의 융통성이 없다면, 이는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성격장애는 환경에 대한 지속적, 부적응적 그리고 융통성 없는 관계방식으로 대개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드러나며, 전체 성인기 생활 동안 계속될 수 있다.여기서는 성격장애를 총 3가지 대분류, 10가지의 증상으로 분류할 것이며, 그 10가지 증상의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기묘한.. 의식의 상태 2015. 12. 11. 더보기 ›› 불안장애? 평범한 것이다. 누구에게나 장애는 있다. 불안장애 불안이란 보통 모호하고, 공포와 염려 같은 매우 불쾌한 느낌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인 불안함은 그 자체로써 생활장면에서의 도전 거리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동기가 되기도 한다.불안장애는 특히 높은 불안을 지속해서 경험하고 이들 때문에 일상생활에 부적응을 겪을 때를 의미하며, 보통 다음 두 집단 중 하나에 속하게 된다. 불안, 걱정, 근심을 일반 사람들이 평상시에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강하게, 오랫동안, 자주 경험하는 것. 개인을 불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피행동, 의식 행동 혹은 반복적인 생각을 자주 하는 것. 1. 일반화된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일반화된 불안장애는 지속적이고 모호하며 설명하기 어려운, 그러나 그 원인이 되는 .. 의식의 상태 2015. 12. 11. 더보기 ›› 이전 1 ··· 85 86 87 88 다음